[클라우드] Amazon EC2 인스턴스 유형 정리
Server&Network&클라우드

[클라우드] Amazon EC2 인스턴스 유형 정리

728x90

AWS 클라우드에서 성공적으로 배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인스턴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만큼 Amazon EC2 인스턴스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고 그 유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겠다.

  • AWS 공식 웹

https://calculator.aws/#/addService?ch=cta&cta=lower-pricing-calc

 

AWS Pricing Calculator

 

calculator.aws

 

 

EC2 인스턴스

  • AWS 공식사이트 _ EC2 인스턴스 유형 

https://aws.amazon.com/ko/ec2/instance-types/

 

컴퓨팅 - Amazon EC2 인스턴스 유형 - AWS

 

aws.amazon.com

EC2 인스턴스를 선택으로 인해서 월 비용에 크게 차이나기 때문에 본인의 필요에 적절한 인스턴스를 찾는것이 매우 중요하다(잘못하면 별로 사용하지도 않았는데 돈을 많이 내게 될 수도 있음)

<EC2 유형의 종류>

EC2 인스턴스 타입을 결정할 때는 아래와 같은 지식을 알고 있으면 좋다.

 

R(RAM) : RAM의 성능을 많이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타입 e.g.) 메모리 캐시

C(CPU) : CPU의 성능을 많이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타입 e.g.) 연산 작업, 멀티프로세싱, 데이터베이스 운영

M(Medium) : 중간 성능을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타입 e.g.) 웹 애플리케이션

I(I/O) : 로컬 I/O 연산 작업이 많은 경우 e.g.) 데이터베이스 운영

G(GPU) : GPU의 성능을 많이 필요로하는 애플리케이션 타입 e.g.) 머신러닝/딥러닝, 비디오 렌더링

 

위 이미지와 같이 본인의 상황에 따라 왼쪽 카테고리에서 골라서 사용하면 된다.

예를들어 CPU는 '컴퓨팅 최적화', 메모리는 '메모리 최적화', GPU는 '가속화된 컴퓨팅' 등으로 골라서 사용하면된다,

 

나는 처음에는 범용 인스턴스인 m5를 사용하고 중간에 메모리부족 에러가 뜨면 메모리 최적화 인스턴스로 업그레이드를 한다.

m5.large → r5.large → r5.xlarge → r5.2xlarge → r5.4xlarge → r5.8xlarge → r5.12xlarge → r5.16xlarge

12xlarge까지 가면 Memory가 384기가 정도되는데 아직 12x 넘어서는 사용해본적이 없다.(12x가 최대)

 

추가로 인스턴스에 기능들도 많은데 자세한 부분은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는게 좋을것 같다.

 

728x90